문제
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.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,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.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. 특히,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,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. 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는 것이다.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심어 놓았다.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되므로 서로 인접해있는 배추들이 몇 군데에 퍼져있는지 조사하면 총 몇 마리의 지렁이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. 예를 들어 배추밭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최소 5마리의 배추흰지렁이가 필요하다. 0은 배추가 심어져 있지 않은 땅이고, 1은 배추가 심어져 있는 땅을 나타낸다.
1 1 0 0 0 0 0 0 0 0
0 1 0 0 0 0 0 0 0 0
0 0 0 0 1 0 0 0 0 0
0 0 0 0 1 0 0 0 0 0
0 0 1 1 0 0 0 1 1 1
0 0 0 0 1 0 0 1 1 1
입력
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(1 ≤ M ≤ 50)과 세로길이 N(1 ≤ N ≤ 50), 그리고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 K(1 ≤ K ≤ 2500)이 주어진다. 그 다음 K줄에는 배추의 위치 X(0 ≤ X ≤ M-1), Y(0 ≤ Y ≤ N-1)가 주어진다. 두 배추의 위치가 같은 경우는 없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필요한 최소의 배추흰지렁이 마리 수를 출력한다.
인접한 집합의 개수를 찾아야 하는 문제. 인접한 좌표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므로 BFS를 사용해야 한다. 다음과 같이 Farm 클래스를 정의한다.
class Farm
{
private:
vector<vector<int>> farm_;
vector<vector<bool>> visited_;
queue<pair<int, int>> q;
int dr_[4] = {1, -1, 0, 0}; // row: 상하
int dc_[4] = {0, 0, 1, -1}; // col: 좌우
public:
Farm(int row, int col);
bool hasCabbage(int row, int col) const;
bool isVisited(int row, int col) const;
void setFarm_(int row, int col);
void bfs(int row, int col);
};
farm_은 밭의 상태를 저장하는 2차원 vector, q는 BFS에서 사용하기 위한 큐로 좌표 (row, col),을 저장한다. dr_과 dc_는 각각 행 방향, 열 방향을 의미한다.
Farm()은 생성자, hasCabbage와 isVisited는 각각 배추가 있는지와 방문했는지를 판단한다.
Farm::Farm(int row, int col)
{
farm_.resize(row, vector<int>(col, 0));
visited_.resize(row, vector<bool>(col, false));
}
farm_과 visited를 각각 NxM 크기의 초기값 0, false로 설정한다.
bool Farm::hasCabbage(int row, int col) const
{
return farm_[row][col] == 1;
}
bool Farm::isVisited(int row, int col) const
{
return visited_[row][col];
}
각각 배추가 있는지, 방문했는지를 반환한다.
void Farm::setFarm_(int row, int col)
{
farm_[row][col] = 1;
}
farm_[row][col]을 1로 설정한다.
void Farm::bfs(int row, int col)
{
int rows = farm_.size();
int cols = farm_[0].size();
visited_[row][col] = true;
q.push({row, col});
while (!q.empty())
{
auto [cr, cc] = q.front();
q.pop();
for (int d = 0; d < 4; d++)
{
int nr = cr + dr_[d];
int nc = cc + dc_[d];
if ((nr >= 0 && nr < rows) && (nc >= 0 && nc < cols) &&
(hasCabbage(nr, nc) && !visited_[nr][nc]))
{
visited_[nr][nc] = true;
q.push({nr, nc});
}
}
}
}
BFS 알고리즘을 상하좌우에 인접한 좌표를 탐색하도록 구현한다. auto [ ]는 C++17에서 도입된 구조적 바인딩으로 배열, 구조체, 클래스 멤버, 튜플 등 구조적으로 묶인 데이터를 분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.
int main()
{
// freopen("input.txt", "r", stdin);
ios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ptr);
int T, M, N, K;
cin >> T;
while (T--)
{
int num = 0;
cin >> M >> N >> K;
Farm farm(N, M);
vector<pair<int, int>> cabbages;
while (K--)
{
int x, y;
cin >> y >> x;
farm.setFarm_(x, y);
cabbages.push_back({x, y});
}
for (const auto &[row, col] : cabbages)
if (farm.hasCabbage(row, col) && !farm.isVisited(row, col))
{
farm.bfs(row, col);
num++;
}
cout << num << '\n';
}
return 0;
}
freopen("input.txt", "r", stdin)은 테스트 케이스를 한번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. input.txt 파일에 미리 테스트케이스의 입력을 저장한 후 실행하면 표준 입력 대신 파일의 데이터를 읽어 테스트 케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.
cabbages 벡터는 배추의 위치를 저장한다. 이를 사용해 모든 좌표를 검사하지 않고 배추가 있는 좌표만 탐색한다. 이때 람다식 auto &[row, col]을 사용한 enhanced for문을 통해 배추가 위치한 좌표만 효율적으로 순회하여 연결된 배추 집합을 탐색한다.
bfs 함수가 return된 후 num을 1 증가시키는데, 이는 한 집합을 모두 탐색한 것을 의미한다.
전체 코드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queue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class Farm
{
private:
vector<vector<int>> farm_;
vector<vector<bool>> visited_;
queue<pair<int, int>> q;
int dr_[4] = {1, -1, 0, 0}; // row: 상하
int dc_[4] = {0, 0, 1, -1}; // col: 좌우
public:
Farm(int row, int col);
bool hasCabbage(int row, int col) const;
bool isVisited(int row, int col) const;
void setFarm_(int row, int col);
void bfs(int row, int col);
};
Farm::Farm(int row, int col)
{
farm_.resize(row, vector<int>(col, 0));
visited_.resize(row, vector<bool>(col, false));
}
bool Farm::hasCabbage(int row, int col) const
{
return farm_[row][col] == 1;
}
bool Farm::isVisited(int row, int col) const
{
return visited_[row][col];
}
void Farm::setFarm_(int row, int col)
{
farm_[row][col] = 1;
}
void Farm::bfs(int row, int col)
{
int rows = farm_.size();
int cols = farm_[0].size();
visited_[row][col] = true;
q.push({row, col});
while (!q.empty())
{
auto [cr, cc] = q.front();
q.pop();
for (int d = 0; d < 4; d++)
{
int nr = cr + dr_[d];
int nc = cc + dc_[d];
if ((nr >= 0 && nr < rows) && (nc >= 0 && nc < cols) &&
(hasCabbage(nr, nc) && !visited_[nr][nc]))
{
visited_[nr][nc] = true;
q.push({nr, nc});
}
}
}
}
int main()
{
// freopen("input.txt", "r", stdin);
ios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ptr);
int T, M, N, K;
cin >> T;
while (T--)
{
int num = 0;
cin >> M >> N >> K;
Farm farm(N, M);
vector<pair<int, int>> cabbages;
while (K--)
{
int x, y;
cin >> y >> x;
farm.setFarm_(x, y);
cabbages.push_back({x, y});
}
for (const auto &[row, col] : cabbages)
if (farm.hasCabbage(row, col) && !farm.isVisited(row, col))
{
farm.bfs(row, col);
num++;
}
cout << num << '\n';
}
return 0;
}
'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aekjoon] 1541: 잃어버린 괄호 - (C3, S2) string (2) | 2025.01.16 |
---|---|
[Baekjoon] 1260: DFS와 BFS - (C3, S2) DFS/BFS (1) | 2025.01.15 |
[Baekjoon] 17626: Four Squares - (C3, S3) DP (0) | 2025.01.14 |
[Baekjoon] 11727: 2xn 타일링 2 - (C3, S3) DP (0) | 2025.01.14 |
[Baekjoon] 11726: 2xn 타일링 - (C3, S3) DP (0) | 2025.01.13 |